티스토리 뷰
목차
서울에서 가구나 가전제품과 같은 대규모 폐기물을 버리고 싶다면 무작정 버린다고 해서 끝나는 것은 아닙니다. 신청 절차와 수수료 납부 후 배출해야 과태료 없이 처리할 수 있습니다. 오늘은 서울에 거주하는 분이라면 알아야 할 대규모 폐기물 온라인으로 신청하는 법 알려드리겠습니다.
대형폐기물이란? 버리기 전에 꼭 확인하세요
먼저, 어떤 것이 ‘대형폐기물’인지 헷갈리시는 분들 많습니다.
서울시 기준으로 대형폐기물이란
일반 쓰레기봉투에 담기 어려운 크기의 폐기물을 말합니다
대표적인 예시를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:
- 침대, 매트리스, 장롱, 책상, 의자
- 냉장고, 세탁기, TV, 안마의자
- 자전거, 전기레인지, 유모차 등
고철, 가전제품은 폐가전 무상수거 대상일 수도 있으니, 먼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.
서울 대형폐기물 배출 방법 2가지
서울시에서 대형폐기물을 배출하려면 다음 두 가지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합니다.
1. 인터넷 신청 | 각 구청 홈페이지 또는 ‘여기로’ 사이트에서 신청 | 비대면, 카드결제 가능 |
2. 주민센터 방문 | 동주민센터 방문 후 종이 스티커 수령 | 현금결제 가능, 직접 처리 |
서울 대형폐기물 인터넷 신청 방법
서울 대부분 구는 공통적으로 ‘여기로’ 사이트를 통해 신청합니다.
다만, 자치구에 따라 링크나 이름이 다를 수 있으니 구청명도 체크하세요.
STEP 1. “여기로” 접속
- 주소: https://www.yeogiro.seoul.go.kr
- 또는 검색창에 ‘서울 대형폐기물 여기로’ 입력
STEP 2. “대형폐기물 배출 신고” 선택
STEP 3. 주소 입력 후 배출 장소 선택
동·호수까지 정확하게 입력해야 수거 가능합니다.
STEP 4. 품목 선택 + 수수료 자동 계산
- 예: 침대 = 8,000원, 소파 = 6,000원 등
- 부피와 종류에 따라 자동 산정됨
STEP 5. 결제하기
- 신용카드, 간편결제(카카오페이 등) 가능
- 결제 완료 후 출력 없이도 배출 가능 (단, 일부 구는 출력 필요)
STEP 6. 배출하기
선택한 날짜에, 지정한 위치에 내놓기만 하면 끝!
구별 서울 대형폐기물 신청 사이트 (2025 최신 링크)
아래는 서울 각 자치구별 대형폐기물 인터넷 신청 페이지 바로가기 링크입니다:
- 강남구: https://clean.gangnam.go.kr
- 송파구: https://clean.songpa.go.kr
- 마포구: https://mapo.epickorea.com
- 성동구: https://clean.sd.go.kr
- 중랑구: https://jungnang.epickorea.com
- (그 외 구도 대부분 ‘여기로’에서 신청 가능)
대형폐기물 수수료는 얼마일까?
서울시는 품목에 따라 수수료가 다릅니다.
2025년 기준 주요 품목 수수료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.
침대 프레임 | 8,000 |
매트리스 | 6,000 |
장롱 (2칸) | 10,000 |
쇼파 (3인용) | 8,000 |
의자 | 2,000 |
전기렌지 | 3,000 |
안마의자 | 12,000 |
폐가전 무상수거와의 차이점은?
헷갈리는 분들 많습니다.
대형가전 = 무조건 대형폐기물? NO!
서울시에서는 폐가전 제품 중 일부는 무료 수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.
냉장고, 세탁기, TV 등 | https://www.15990903.or.kr 또는 1599-0903 전화 |
자주 묻는 질문 (FAQ)
Q. 출력 없이 그냥 버려도 되나요?
A. 대부분 구에서는 출력 없이도 수거 가능하지만, 구청마다 방침이 다르므로 꼭 확인하세요.
Q. 수거 안 해갔다면?
A. 위치 오류, 품목 미기재, 배출시간 위반 등이 원인일 수 있으므로, 구청에 문의 후 재신청 필요합니다.
Q. 당일 신청해서 버릴 수 있나요?
A. 보통 신청일 기준 1~2일 이후부터 수거 예약 가능합니다.
대형폐기물, 쉽고 합법적으로 버리기
대형폐기물은 막무가내로 버리면 과태료 부과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.
서울은 온라인 신청 시스템이 잘 마련되어 있어 비대면, 간편결제, 출력 없는 배출까지 모두 가능합니다.
특히 ‘여기로’ 사이트 하나면 대부분의 구청 업무가 해결되니 북마크해두고 다음에도 꼭 활용하세요.